| 나를 알고 성장하기 | 이번주에는 class 문법을 쓰지 않고 JS의 특징을 잘 살리는 코드짜기라는 목표를 지켜보고자 노력했습니다. 그 이유는 지난 미션1 수행 과정에서 'React스럽게', 'nestJS스럽게'라는 강박에 갇힌 채, 그런 것들을 구현하려는 데에 혈안이 되었던 기억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구조를 가져가기 위해 많은 시간을 들였고, 결국 핵심 기능들을 몇몇 구현하지 못한 채 끝나고 말았습니다. 이런 고민을 그룹원분들께 털어놓았을 때, 당시의 동료분께서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는 부캠이 아니어도 배울 수 있다'는 조언을 해주셨고, 부캠에서 제시한 과제의 본질에 집중하자는 결론을 냈었습니다.

JS의 특징을 잘 살리면서도 이번 미션의 본질에 집중하고자 작은 목표를 세웠는데, 'class 문법을 쓰지 않고 express처럼 명확하고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미션2_제목_블라인드] 만들어보기'였습니다. 현재는 정적 파일을 응답하는 기능까지 완성한 상태로, 동적 요청 응답 기능을 추가해보는 중에 있습니다. 지금껏 class문법 없이 기능을 만들어낸 것 같아서 개인적으로는 만족스럽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피어세션 등을 하면서 주변 동료들의 코드를 볼 때마다 spring이나 nest.js처럼 만들어서 추상화해야하지 않을까 하는 불안이 종종 몰려오는 것 같습니다. 그룹 프로젝트 때 nest.js 사용할텐데 미리 공부겸 따라 만들어보면 좋지 않을까, 등의 마음이 올라옵니다.

다음주에는 내 방향에 확신을 가지고 나아가야겠다는 다짐을 합니다. 동시에 spring이나 nest.js처럼 구현하신 분들의 코드를 읽어보면서 저렇게 하면 뭐가 좋고 어려운지 등을 간접체험하면서 불안함을 잠재워보려고 합니다. 나아가 JS의 특징을 잘 살리기로 다짐한 만큼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해 찾아보면서 도입해보려고 합니다.

→ 이건 기억하자. 이걸 멋있게 완성하는 게 중요한 게 아니고, 이것저것 실험해보는 게 이 과정에서 의미있다고 생각. | | --- | --- | | 자기주도적으로 행동하기 | 이번주에 만난 다양한 고민거리가 있었습니다. 검색 또는 인공지능을 통해 결론을 도출했다면 이해했으니 됐다,라고 생각한 채 넘어갔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휘발되는 것이 아까워 이번주에는 관련 내용들을 짤막하게라도 노션에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렇게 되니 잘못 정리하고 넘어갈 뻔한 것도 캐치할 수 있었고, 내 말로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다음주에는 고민 사항에 대한 간단 기록을 커밋 단위로 해서 최대한 많은 것들을 기록해볼 계획입니다. | | 전문성 기르기 | 베이직 때부터 쭉 성장 곡선을 그려왔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요즘들어 나의 전문적인 성장이 멈춘 것 같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매번 미션이 나올 때마다 관성적으로 user.service.js, user.repository.js, user.controller.js 같은 파일들을 만들고, 하던대로 로직 짜는 게 반복된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코드뿐만 아니라 지식적인 측면에서도 미션1을 하면서 웹 서비스가 대충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았다보니 http, cookie, 로그인, 회원가입, 리다이렉션 등등 또한 따로 공부하지 않아도 대강 만들 수 있는 상태가 되었습니다. TypeScript도 제대로 공부하진 않았지만 눈치껏 어떻게 쓰는지 알고 있고, 그래서 도입하는 데에 큰 어려움도 없었습니다.

하지만 정작 다른 분들과 딥하게 이야기를 나눠보거나, 금요일 체크포인트 질문에 답변할 때면 자꾸만 턱턱 막힙니다. 이러한 상태가 썩 유쾌하지 않습니다. 요령을 터득하니 구현은 하는데, 깊이가 없는 상태였습니다.

휴일인 어제 캠퍼분들 몇몇과 모각코를 하고 피자를 먹었습니다. 그중 한 분과 대화를 하다가 DI에 대해 설명해달라고 하자 술술 말씀하시던 장면이 떠오릅니다. 대강 느낌만 알고 있던 저는 절대로 따라할 수 없는, 내공이 느껴지는 논리적 설명이었습니다. 그걸 보면서 정말 충격을 받았습니다. 내가 알고 있다고 생각한 것들 중 이렇게 설명할 수 있는 것이 몇 개나 되는지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고민이 생기게 된 건, ’나만의 언어로 설명할 수 있을만큼 학습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결론지었습니다. 그냥 개념만 아는 것과 말로써 설명할 수 있는 상태는 완전히 다르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챌린지 때부터 강조해온 '나만의 언어로 학습정리'의 중요성을 이제서야 몸소 체감한 순간이었습니다.

오늘 회고를 하며 이러한 종합적인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습니다. 결론을 내린 이 순간부터 학습의 기준을 '내가 술술 설명할 수 있는가'로 잡아보려고 합니다. 다음주는 더 성장하는 느낌을 받는 한 주가 되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 | 함께 자라기 | 이번주는 휴일이 화목 두 번이나 있었던 탓에 꾸준한 제 시간에 피어세션을 진행하지 못했던 점이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그래도 수요일에 다함께 시간을 마련해 피어세션을 진행할 수 있어 다행이었습니다.

이번주에는 TDD를 해보았습니다. 그 과정에서 문득 ‘private 함수를 테스트하고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번 스터디그룹은 오프라인에서 교류했다보니 유대감이 더 많이 쌓여있었고, 그 덕분에 더 부담감 없이 이 의문을 말씀드려볼 수 있었습니다. 휴일임에도 불구하고 이 질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이나 레퍼런스를 공유해주셨고, 토론으로 이어질 수 있었습니다. 이 경험을 토대로 유대감의 힘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의 스터디그룹과 그룹 프로젝트에서도 팀원들과의 유대감을 잘 쌓아나가보려고 합니다. | | 다음주의 나에게 하고 싶은 말? | 현재 상태에 안주하지 말고, 그렇다고 다른 분들을 보며 불안해하지 말고. 나만의 속도로 다시 성장 곡선을 그려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