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를 알고 성장하기 | 이번주엔 정말 유익한 활동들이 많았다. 기대 많이 하고 있었던 멘토 리뷰, 엄청 웃기고 유익한 마스터 클래스, 너무 기대되는 주제의 특강들, 준일 마스터님의 글쓰기 특강까지. 많은 input이 있었고, 배울 점이 참 많은 활동들이었다.

하지만 한 번에 너무 많은 걸 흡수하고 다 적용하려다보니 체할 것 같은 기분을 느꼈다. 마스터 클래스를 듣다보면 학습해보고 싶은 키워드도 쏟아졌고, 특강들을 듣다보면 내 습관으로 만들어내고 싶은 방식들이 참 많았다. 다 가져가고 싶은 마음에, 각종 특강이 끝나고 나면 노션의 TODO 페이지를 만들어 키워드들을 싹 모았다. 너무 인상깊은 강의였을 땐 키워드 기록만 한 시간 넘게 한 것 같다.

그러고 나니 수요일 밤, 마음이 너무 불편했다. 학습할것도, 습관화할 것도, 찾아서 공부해야할 것도 이렇게나 많은데다가, 여전히 구현 진행도도 2주차에 머물러있었기 때문이다. 물리적인 시간이 부족한 게 너무 답답했고, 남들보다 배경지식이 너무 없는 것 같아, 남들보다 시간 관리를 못하는 것 같아 자괴감이 들었다.

도저히 잠이 오지 않아, 수요일 밤에는 찐하게 개인 회고를 좀 했다. 아무래도 내가 멤버십에서 얻어갈 목표를 잘못 설정하고 있는 것 같았다. '가능한 모든 것'을 내것으로 만들기보단, 일단 내 실력에 알맞게 '기본을 잘하자'는 결론이 나왔다. 이 미션을 통해서 얻어갈 수 있는 '기본'에 집중하자는 거다. TDD도, Typescript도 다 너무 좋지만 당장 FE BE 통신도 제대로 모르고, 쿠키와 세션을 통한 인증 방법도 제대로 모르고 있는 상태에서 TDD나 Typescript 도입은 순서에 맞지 않는다. 주차별 요구사항부터 충실하고, 다른 것들을 곁들여 나가야겠다. | | --- | --- | | 자기주도적으로 행동하기 | 저번주에는 컴포넌트화를 도전했는데, 이번주에 들어서서도 너무 그것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얽매여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컴포넌트화의 목표는 'React 따라 만들기'였다. 그러다보니 변경되지 않은 컴포넌트를 재렌더링하는 비효율을 바라보면서 '이건 Virtual DOM을 만들어 해결하는 방법밖에 없어'라는 사고에 갖히고 말았다.

오늘 피어세션을 하면서 이 질문을 공유했는데, 한 동료분께서 내가 너무 어렵게 생각하고 있다는 걸 일깨워주셨다. 그냥 if문 하나면 된다는 거였다. 심플한 결론에 너무 충격을 받고 말았다.

이렇게 사고가 갇히게 된 원인은 내가 지금 이 구현 과정을 '정답이 있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인 것 같다. FE 구조도, BE 구조도 다 정답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주 그룹원들도, 우리 조 멘토님도, 금요일마다 코드리뷰 해주시는 준일 마스터님도 하나같이 '지금의 사용이 불편하면 구조를 바꾸고, 그렇지 않으면 그냥 둬도 된다'고 말씀하고 계셨다. 즉, 정답은 없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나는 A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항상 B만 있다고 생각했고, 그래서 정답을 찾아 구현해내려고 했었던 것 같다. 그러다보니 유연한 사고를 할 수가 없었다.

내 코드의 장단점은 충분히 돌아보되, 정답은 없다는 이 사실을 기억하며 다음주에는 경직되지 않은 말랑말랑한 사고로 도전해보려고 한다. | | 전문성 기르기 | 챌린지부터 지금까지 학습정리에 대한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다. 챌린지 중반엔 학습이 너무 부족한 것 같다 생각하여 몰랐던 키워드를 싹 다 정리하려 했다. 그러다보니 정작 써먹을 시간이 충분하지도 않거니와 기억에 남지도 않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끝에 가서는, 구현 과정에서 떠오르는 것들 위주로 정리를 하려 했던 것 같다. 근데 또 막상 이 방식을 멤버십에 적용하려고 하니, 챌린지 때 정리해둔 학습정리 솔직히 다시 꺼내보지도 않는데다가, 누구한테 보여줄 것들도 아니고, 그냥 나만 잘 알고 넘어가면 된다고 생각하여 정리를 멈췄다. 차라리 개념 정리보다는 블로그에 트러블슈팅 같은 것들을 기록하는 편이 더 낫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동료분들을 보면서 생각이 바뀌었다. 이번주에 그룹 리뷰를 하면서 동료분들이 학습정리를 공유하며 개념에 대해 설명해주신 적이 있었다. 분명 CSR SSR은 굳이 정리하지 않아도 내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피어분의 학습정리를 읽어보니 내가 오해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학습 정리 하는 시간을 따로 가지지 않으니 내 생각에 갇혀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다음주부터는 오늘 사용한 기술에 대한 학습정리만큼은 꼭 하려고 한다. 그리고 PR 올릴 때 '학습 키워드'와 함께 학습정리를 첨부하려고 한다. 이때 학습정리는 단순 키워드 정리가 되지 않도록 나만의 언어로 정리해나갈 것이다. pr 제출을 10시 이내로 하고 학습정리를 하는 것으로 습관을 잡아나가려 한다. | | 함께 자라기 | 이번주 그룹 활동을 하면서 나는 많이 배울 수 있었던 것 같은데, 그룹원들에겐 도움을 못 준 것 같다. 이 점이 가장 큰 아쉬운 점이다.

나는 거의 졸업 직전이거나 졸업 하신 동료 캠퍼분들에 비해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이제 3-1을 끝냈고, 그래서 CS 지식도 많이 부족하다. 게다가 프로젝트 경험도 제대로 한 건 한 번이 전부다. 그럼에도 나는 내 수준을 인정하지 않고 다른 분들만큼 퀄리티 있는 코드리뷰나 지식적인 조언을 해드리고 싶다는 욕심이 있었다. 그 수준의 도움이 아니라면 차라리 안 드리는 게 낫다는 생각이 기저에 있었다.

그러나 지난 목요일, setHTML이라는 함수를 학습정리해서 발표해주셨던 동료 캠퍼분을 보면서 정말 많이 반성이 되었다. 어떤 개념에 대한 학습정리는 나도 충분히 할 수 있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 캠퍼분의 용기를 보면서, 내가 나의 상황에서 주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보게 되었다.

내가 내린 결론은, 동료 캠퍼분처럼 학습 정리를 공유하는 것이나, 겪었던 어려움을 공유하는 것, 나아가 사소한 것이라도 질문하는 것으로써 도움이 될 수 있겠다는 거였다. 나는 못한다는 핑계를 만들지 말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여 도움을 드리고자 노력하는 다음주가 되어야겠다. | | 다음주의 나에게 하고 싶은 말? | 내 수준을 인정하자. 수준을 뛰어넘어 무언갈 하려고 하지 말고, 일단 기본부터 잘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