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는 체감상 저번주보다 훨씬 빠르게 지나갔다. 저번주의 2/3밖에 안 지난 것 같은데 벌써 금요일이 되었다!
1주차 회고를 하면서, 2주차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을 신경쓰고자 했다.
피어세션 : 팀원들의 코드를 이해해보기
미션수행 : 학습정리를 먼저 충분히 하고, 미션을 수행하기 (완성보단 학습에 초점)
수면관리 : 5시간 자기
목표 달성 여부 | 월 | 화 | 수 | 목 | 금 |
---|---|---|---|---|---|
피어세션 | _ | 🛆 | O | O | O |
미션수행 | O | O | O | X | _ |
수면관리 | X (4:40-9:20) | O (12:20-8:50) | X (4~7) | O (12:20~8) |
수면시간이 들쭉날쭉이지만 그래도 평균적으로 6시간은 잔 것 같습니다. 성공적이네요.
KEEP | PROBLEM | TRY | |
---|---|---|---|
화 | - 노션에 한줄씩 모든 사람의 피드백을 남겼다. |
다 보기는 어려우니, 조금씩 이해해보고자 내가 어제 고민했던 지점을 어떻게 처리했는지 위주로 확인했다. | - 코드가 여전히 눈에 잘 안들어오는 것? | - 앞으론 clone을 더 빨리해낼 방법을 고안해보면 시간 단축에 도움이 될 것 같다.
내일은 주로 관찰할 내용을 한개에서 두 개로 늘려서 두 부분을 관찰해보자. 읽는 곳을 차츰 늘려나가자. | | 수 | - 코드를 좀 더 많이 이해해보려고 노력했다. 오늘의 주안점은 3가지로 더 늘려보았다. 그냥 나 스스로의 단상을 메모하기보단, 줌에서 말해낼 수 있는 내용을 적으려고 노력했다. | - 조금 더 일찍 시작하면 좋겠다. 오늘은 일찍 못 일어나서 9시 40분에 시작했더니 좀 촉박했다. | - 내일은 8시반에 일어나서 9시 10분쯤에는 시작하고 싶다. 오늘 미션은 __인 만큼 코드로서 배울점이 많을테니까. | | 목 | - 오늘은 순발력이 좀 생겨서 후루룩 질문 정리를 해낼 수 있었다. 좀 적응이 된듯
클론 시간을 단축한 것도 한 몫했다. | - __님 코드를 끝내 이해하지 못한 점. 특정 부분만 copy한다는 걸 이해조차 못했음 | - 앞으로는 좀 더 로직단위로 이해해보자. 함수를 만들었네 말았네 이런 거 말고, 그 함수를 어떻게 만들었는지를 봐보자. | | 금 | - 오늘은 그래도 어제보단 더 코드를 이해해볼 수 있었다. 코드가 두 개뿐이었기 때문이지. | - 좀 더 자세히 이해하려 노력하다보니 C조 보느라 A조를 많이 못 봤다. | - 결국 아침에 9시에는 피어 피드백 준비를 하는 게 맞다고 본다. |
KEEP | PROBLEM | TRY | |
---|---|---|---|
화 | - 메모하기 | - 내가 사람들의 코드에 대한 질문을 너무 준비하지 못한점. 또한 순발력있게 질문하지 못한점 | - 다음엔 사람들 한명씩 질문할점 찾아가기 |
내가 나보다 실력좋은 사람에게 줄 수 있는 도움은 뭐가 있을지 고민해보기 | | 수 | - 어제보단 좀 더 많이 말할 수 있었다. 준비를 그래도 꽤 해놓은 덕분이었다. | - 질문을 좀 횡설수설했다. 좀 더 말을 다듬었으면 좋았을 것 같다. | - 이때 메모한 내용은 꼭 오늘 다 정리하고 자자.
질문할 때 두괄식으로 말하자. | | 목 | - 오늘은 좀 더 순발력있게 질문해낸 것 같아 뿌듯하다. | - __님께는 질문을 너무 못 드린 것 같아 아쉽다. 좀 더 준비할걸 그랬다. | - 결국 시간인듯. 딱 10분만 컴파일링 시간 더 마련해보자. | | 금 | - 오늘은 __님 말씀을 이해하고, 내가 이해한 게 맞는지 질문하는 것도 시도해봤다. ++님이 하는 것 보고 인상깊어서 좀 따라해봤다. | - new Promise 안 한 이유 등을 물어보셨는데, 이건 충분히 생각해보지 않았던 부분이라 대답을 못했다. | - 대답을 못한 건 결국 전날 학습이 충분하지 못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학습정리에 힘을 쏟자. |
KEEP | PROBLEM | TRY | |
---|---|---|---|
월 | - 중간에 집중 안 될때 잠시 투썸 사온거(덕분에 집중 잘됨) |
학습정리 충분히 한것. 프로퍼티 알아갈수있어 좋았다. | - 투머치 설계였던 것 같다. 또한 첫번째 설계때 숲을 보지 못하고 나무를 본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 설계 다시 뒤집느라 제대로된 구현은 10시에 시작한듯) | - 좀더 똑바로 설계하기. 그러려면 요구사항을 읽을 때 나무가 아니라 숲을 볼줄 알아야함. 내용을 거시적으로 이해하고 설계하기. 디테일에 매몰되지 말것. | | 화 | - 미션 두 개를 디테일하게 보기 전에, 큰 숲을 먼저 보고 들어간 점이 어제의 피드백을 반영한 것 같아 잘했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큰 숲을 먼저 본 덕분에 미션이 더 잘 풀린 것 같다.
TDD라는 나만의 목표를 가지고 수행해낸 점이 뿌듯했다. 확실히 TDD하니 바로 피드백이 와서 애자일마냥 바로 내 행동을 수정할 수 있어 좋다.
모니터 위치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돌렸다. 어제 자기전에 뒷목이 너무 시큰거렸기 때문이다. 그래도 문제가 있어서 의자에 이불을 깔아 높이 조절을 해줬다. 그랬더니 좀 나아졌다. 또한 중간에 각잡고 15분 스트레칭 했던 게 잘한점이다. | - 슬랙에 댓글을 못달았다. (슬랙에 댓글 하나씩 달아서 소통해보는 게 목표였습니다.) | - 달아야되는데, 내 흐름 끊기기 싫어서 자꾸 슬랙을 안 보게 된다.. 내일은 도오전.. | | 수 | - 공부를 꼼꼼히 했던 점. | - 자신만의 목표가 투머치. 구현하라는 것에 집중하기 보단, 굳이 제네릭, TS, TS에대한 단위 테스트에 등 너무 많은 모래 주머니를 이고 달렸던 것 같다. | - 다음에는 목표를 너무 높이 잡지 말아야겠다. 타협해서 일단시작하고, 나중에 리팩토링한다고 생각하자. | | 목 | - 없다. | - 이건 좀 더 고민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나는 항상 충분한 학습을 하고 구현을 하는 편인데, 짝과 함께이다보니 내 이해 속도대로 학습할 수 없었다. 디자인패턴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 없이 냅다 시작했던 것 같아 코드 짜기가 어려웠다.
새로 알게된 promise이외의 비동기 처리방식을 충분히 학습하지 못했던 점이 아쉽다.
충분히 학습하지 않았다는 핑계로 집중을 제대로 못해갔던 것도 변명에 불과한 것 같다. 더 적극적으로 알아보고 공부했어야했는데 에러잡기만 하다보니 영혼이 빠져나갔던 것 같다. 집중력의 문제인 것 같다. | - 짝 프로그래밍을 한다면, 어떤 식으로 나만의 학습을 할 수 있을지도 알아가야할 것 같다. |
KEEP과 TRY 사항을 종합적으로 작성했다.
코드 읽는 시간을 좀 더 확보하려고 한다. 동료들의 링크가 공개되는 9시부터 바로 코드를 읽기 시작한다면 모두의 코드를 더 깊이 있게 이해해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