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키텍처
소켓 서버 분리
테스트 코드 & CI 한 것도 한 구석에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막 강조할 필요는 없습니다.
권한 부여 정책
분기 처리? 그룹화? 어떻게 하였는가?
→ 권한
이라고 한다면 정석 같은 방식이 있다. 구현은 어렵지만 확장성에 좋아서! 이걸 썼는지 궁금! → RBAC(Role-Based Access Control), ACL(Access Control List)을 말하신 듯
소켓 관리 어떻게 했는지
postgreSQL을 왜 썼나요?
아키텍처 관련 질문 : object storage는 어떤 의미인가요?
S3같은 느낌에다가, React올려놓고 서빙하는 느낌이라 생각하면 될까요?
→ html은 nginx 거쳐서 내려오고, 나머지 파일들은 object storage로 바로 갈 수 있도록 했습니다.
왜 그렇게 하셨나요? 라우팅 때문에 그런가요? nginx를 안 거치고 할 수도 있었던 것 같아서, 선택한 이유를 물어보고 싶어서 그랬습니다.
index.html
로 리다이렉트되어야 하며, Object Storage만으로는 이 설정이 번거롭거나 불가능할 수 있음./api/*
요청은 백엔드로, 나머지는 index.html
로 매핑.선택의 이유
docker 왜 안 쓰셨어요? 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