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를 알고 성장하기 | 잘한 점 : 많은 것들을 모르고 있었던 탓에 막막함이 있었지만, 모르는 것에 좌절하기 보단 '일단 해보자'의 마음가짐으로 템플릿 엔진부터 lowdb까지 연동해낸 것을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아쉬운 점 : '일단 해보자'의 마음가짐의 부작용은, 학습이 주가 아니라 구현에 방점을 찍게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충분히 학습하지 않은 채 일단 되는대로 구현부터 하는 안 좋은 습관을 다시 반복하고 말았습니다. 아무래도 저보다 빠르게 척척 완성해내시는 분들을 보다보니 조급한 마음에 그랬던 것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시도해볼 점 : 하루의 시간을 100%로 둔다면, 학습을 60%정도까지 끌어올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이 학습은, 그냥 '단어 정리'의 학습이 아니라, '딥다이브'의 학습으로 만들 것입니다. 많은 걸 공부하려고 하기보단, 한 주제를 가지고 이것저것 만들어보며 놀아보려고 합니다. (이를 테면 __님께서 슬랙에 남겨주신 'css 딥다이브'처럼 해보고 싶습니다.) 그리고 놀아본 기록을 블로그 등에 기록해보며 글쓰기 연습을 해보려 합니다. 이처럼 타인과 비교하지 않고 나에게 알맞는 속도로 다음주를 보내보려 합니다. [결론 : 매일 하나의 주제를 정해 딥다이브 하고, 이것을 블로그에 기록하기] | | --- | --- | | 자기주도적으로 행동하기 | 잘한 점 : 템플릿 엔진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고민한 점을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1일차에 pug와 ejs의 구체적인 장단점을 충분히 비교하고, 나만의 근거를 만들고자 시간을 썼던 게 기억에 남습니다.

아쉬운 점 : css를 작성할 때, 충분한 근거를 가지지 않은 코드를 작성한 점이 후회됩니다. 이를테면 저는 rem의 개념을 제대로 찾아보지도 않은 채로 무작정 도입하여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rem의 기준을 내마음대로 12px로 잡은 것도 지금 생각해보니 어이가 없습니다. 충분히 조사하고 사용하며 코드에 대한 근거를 마련했어야 했는데, 눈 대중으로 얼추 맞아보이면 넘어간 점이 너무 후회가 됩니다.

시도해볼 점 : 모든 코드를 작성함에 있어 '근거'를 마련하려고 합니다. 특히나 정확히 알지 못하는 api를 도입할 때, 무작정 되는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충분히 사용하고 학습 및 사용의 근거를 readme나 pr 내용으로써 남기고자 합니다. [결론 : 새로운 api나 라이브러리를 도입했다면 무조건 readme에 남김으로써 나만의 근거를 글로써 짚고 넘어가기] | | 전문성 기르기 | 잘한 점 : 1일차에는 하루에 모든 걸 다 학습하기보다는 하루에 어떤 것들을 학습해볼지를 분리했습니다. 한 번에 모든 걸 학습해내기보단, 학습 주제를 일자별로 분리하는 것은 굉장히 좋은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아쉬운 점 : 학습 주제를 일자별로 잘 분리하긴 했으나, 구현해야한다는 강박에 학습을 패스하고 바로 구현하기 시작했습니다. 구현하면서 학습할거라는 핑계를 댔지만, 일단 돌아가면 왜 돌아가는지 알아보지 않고 다음 기능으로 넘어갔던 것 같습니다.

시도해볼 점 : 앞서 [나를 알고 성장하기]에서 매일 하나의 주제를 정해 딥다이브를 해보고자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전문성 기르기]의 아쉬움에 대해서도 이 딥다이브로 해소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덧붙여 딥다이브 한 주제는 그날 구현에 꼭 적용해보고, 적용한 내용을 pr 및 readme에 작성하여 공유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결론 : 딥다이브했던 내용을 반드시 오늘 구현에 반영하고, 반영 기록을 pr 및 readme에 기록하기] | | 함께 자라기 | 잘한 점 : 그룹회고에서 나눠보고 싶은 주제나 내 진행상황 등 다음날 진행할 그룹 활동을 염두에 두고 PR을 작성했습니다. 이렇게 하니 따로 내 코드 편집기나 실행 화면을 틀지 않고서도 상황 공유를 금방 할 수 있어 유용했습니다.

아쉬운 점 : 그룹 리뷰 때 자꾸 소재가 고갈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건 제가 오로지 기능 구현에만 집중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코드 하나를 짜더라도 충분히 질문하고 고민하며 근거를 마련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았고, 이것이 소재 고갈로 이어진 것 같습니다.

시도해볼 점 : [자기주도적으로 행동하기]에서 다짐했듯, readme에 근거를 남기는 것이 소재 고갈 문제 또한 해결해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코드를 좀 이해해봐야 더 좋은 질문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니 다음주에는 스터디그룹원의 코드라도 좀 이해하고, pr에 '의미있는' 리뷰를 남겨보고 싶습니다. [결론 : 매일 12시, 그룹원의 pr에 리뷰 달아보기] | | 다음주의 나에게 하고 싶은 말? | 원래 첫 주는 천방지축 얼렁뚱땅 빙글빙글 돌아가는 게 당연하다! 회고에 작성한 개선 목표를 지켜서 다음주에는 같은 아쉬움을 갖지 않도록 하자! 그걸 지켜보고자 시도하는 것만으로도 1주차보다 훨 나은 2주차가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